유익한 정보

고혈압 얕보다가 “뇌혈관 터졌다”...심장-눈-신장 망가지는 최악 식습관은?

산다람지 2025. 3. 4. 12:00

김용 기자
발행 2025.03.03 14:02업데이트 2025.03.03 18:06

혈압 조절을 위해 채소-과일을 많이 먹고 짠 음식-고칼로리-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린다.
증상이 거의 없다가 심근경색증,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콩팥병, 시력 손실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도 절대로 방심하면 안 된다.
고혈압 전 단계라도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며 혈압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경각심 차원에서 심장-뇌혈관병의 출발점 고혈압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1230만 명이 고혈압...방심하면 심장-뇌혈관 위험해진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중 28%, 약 1230만 명이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새 20~30대 젊은 환자도 크게 늘어 2022년 99만 명이나 됐다.
5년 새 22%가 증가했다(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남자 30%,
여자 27% 정도일 정도로 남녀 차이가 크지 않다.
고혈압에 걸린 것을 알고 있는 비율은 70%,
치료 중인 비율은 66%이다.
특히 치료 목표를 달성하는 비율은 48%에 불과하다.

젊은 사람들은 고혈압이 있는지 잘 모르거나,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나이에 진단을 받으면 고혈압에 노출되는 기간이 훨씬 길어지기 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커진다(질병관리청 자료).
나이에 관계 없이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철저하게 관리하여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close
arrow_forward_ios

더보기

심장, 뇌, 망막 혈관 망가질 때까지...증상 없는 게 보통

고혈압은 평균 수축기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이다.
정상 혈압은 120 mmHg / 80 mmHg 미만이다.
고혈압은 짜고 기름진 음식,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스트레스, 과로, 비만,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서 출발한다.
고혈압은 장기 손상(심장, 뇌, 망막 혈관 및 말초 혈관 등)이 생기기 전까지는 증세가 없는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두통, 두근거림, 호흡곤란 등이 보일 수 있다.

혈관 막히고 망가지는 원인...투석-신장 이식, 신장병 위험도

고혈압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미세혈관에 변화가 생긴다.
작은 동맥이나 미세 동맥이 두꺼워지면서 혈관이 좁아진다.
동맥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생기면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피가 제대로 흐르지 못해 혈전이 생길 위험도 높아진다.
심장 혈관이 막히면 급사 위험이 있는 심근경색증이 생기고,
뇌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게(뇌출혈) 된다.
콩팥 혈관의 손상으로 투석-신장 이식 위험이 커지는 신장병이 생길 수 있다.
눈의 망막 변화도 고혈압의 중요한 장기 손상 중 하나다.

좋은 생활습관...혈압 떨어뜨리는 효과 뚜렷, 약도 줄일 수 있어

건강한 식사, 운동, 금연, 절주 등의 좋은 생활습관(비약물치료)은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뚜렷하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 뿐만 아니라 주의 혈압, 전 단계인 사람도 실천해야 한다.
좋은 생활습관은 혈압약 한 가지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
약을 먹는 고혈압 환자도 생활요법을 병행하면 복용 약의 용량 및 개수를 줄이고,
약의 효과를 최대화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혈관을 수축시키는 담배를 끊고 짠 음식을 줄여야 한다.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면 혈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채소-과일 위주의 식습관과 더불어 칼로리와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생선, 견과류, 유제품의 섭취를 늘리는 게 좋다.
복식 호흡, 명상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