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산을 위한 한약
순산한약 - 불수산(佛手散)
부처님이 손으로 밀어주듯이 잘 보살펴서 통증을 가라앉히고 아기를 부드럽고 원만하게 출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당귀, 천궁이 6:4의 비율로 이뤄져 있어 자궁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소통시켜 순산을 도와주며,
과다 출혈 및 산후 부종을 예방하도록 돕는 천연물이다.
참고로 궁귀탕 또한 천궁, 당귀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그 비율이 1:1로 다르다.
궁귀탕은 빈혈로 초래되는 여러 질환에 응용되는 반면
불수산은 최산제(催産劑)의 기본방이 된다는 점에서 구성 생약의 비율에 따른 차이를 알 수 있어서 흥미롭다.
불수산은 출산예정 3~7일 전부터 3일간 복용해 임신부의 미는 힘이 떨어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는 불수산 복용의 타이밍을 잡기가 어려워서 브로드하게 설정한 복용 기간이며
본래 불수산(佛手散)은 출산(出産)을 하면서 먹는 약이다.
산모의 양수가 터지고 난 뒤 진통과정 중에 먹는 약으로
자궁의 수축과 이완이 원활해져 진통시간이 많이 짧아지고 통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골반을 열어서 순산을 돕는다는 의미로
개골산(開骨散 : 산모의 하복부 치골결합을 열어 산도를 넓혀주겠다는 뜻)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산모의 체질과 상태에 따라 녹용이나 익모초 등을 가미한다.
녹용은 태아를 밀어내는 힘을 더욱 강하게 하는 용도로 쓰인다.
하지만 녹용의 열성이 태아에게 열을 가하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불수산 적응증:
산전 자궁보호, 진통 감소, 순산 유도, 태아의 태열 태독 예방 출산 후 복용가능한 한약
△오로(惡露)의 뜻
출산 이후, 자궁에서 배출되는 오로(惡露)는 태아와 함께 부속물이 빠져나온 후
자궁강 내에 잔류해 남아있는 혈분과 탁한 액체들로서
산후회복기 중 자궁 및 질에서 배설되는 삼출액 또는 분비물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태반, 난막, 혈액, 림프액, 조직액 등의 분비물이 포함되므로
제왕절개를 하였어도 오로는 마찬가지로 배출된다.
△오로는 언제까지 배출되나
오로는 보통 3주 정도까지 나오며
4~6주에 엷어지기 시작하면서 차츰 없어지게 된다.
자연분만을 통해 출산했다면
오로가 보통 4~6주 정도까지 나타나지만
제왕절개 시에는 그보다 더 오래 갈 수 있고 개인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조금씩 난다.
△정상적인 오로의 색과 특징
오로의 전체량은 500~1000g이며
그 중에서 3/4이 대략 산욕초기 4일간에 배출된다.
처음에는 분비량이 많다가 점차 적어지며
특별한 냄새는 따로 나지 않고 냄새가 난다고 하여 감염으로 볼 수는 없다.
임신 오로 및 회복에 사용할 수 있는 방제로 생화탕이 있다.
생화탕(生化湯)
전당귀, 천궁, 도인(桃仁), 건강(乾薑) , 자감초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생기는 어혈을 풀어주고
기혈을 잘 보충해 산후 조리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평생건강이 좌우될 수도 있다.
생화탕은 산후 자궁 안의 어혈을 풀어주고
산후풍(산후관절통)을 치료해 산모의 신체 회복에 큰 도움을 준다.
△생화탕 적응증 및 효능
산후 어혈, 산후 관절통, 산후 모체보호
【효능】 활혈거어(活血祛瘀), 온경지통(溫經止痛).
산후 허약으로 침범한 한사에 의해 생긴 어혈을 푸는데 도움이 되는 약이다.
열성의 산모에게는 열을 푸는 약이 더 필요하다.
환자가 발열이 명확하고 오로가 점조하며
혈색이 자홍색이고 이상한 비린내가 나며,
갈증으로 찬물을 마시고,
변비, 붉은 소변, 붉은 설질과 노란 설태,
매끈하고 빠른 맥 등 완연한 열 증상을 수반하는 자에게는 이 처방에 열을 푸는 약을 보완하거나 다른 처방을 사용한다.
① 전당귀는 당귀신, 당귀미가 동시에 들어있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당귀미는 혈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는 것에 치우치고,
당귀신은 혈을 기르는 것이 능하며 겸하여 혈의 운행을 활발하게 한다고 여겨진다.
포강은 경락을 따뜻하게 하고 지혈하는 것에 능하다.
② 처방 중 전당귀의 양이 많아 혈을 보하는데,
산후의 혈허를 겨냥하여 설계됐다.
당귀, 천궁, 도인은 모두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어혈을 풀고 통증도 그치게 할 수 있다.
당귀는 혈을 기르고 보하지만 정체하지 않고,
도인, 천궁은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지만 혈을 소모하거나 상하게 하지 않는다.
다음은 이 처방을 활용할 기준이다.
① 혈허: 갓 출산한 후에는 반드시 혈허하니 이 처방을 응용하는 전제가 된다.
산후가 아니라면 명확히 혈허를 가진 자에게 응용한다.
아교, 용안육을 더할 수 있다
② 한응: 산후에는 몸이 허하여 바깥의 사기를 쉽게 받는다.
한사가 안을 침범하고 기혈이 뭉쳐서 하복부가 차고 아픈 증상에 따뜻하게 하거나 눌러주면 좋아하고 통증이 감소됨을 확인한다.
갈증을 동반하지 않고, 갈증이 있어도 대개 뜨겁게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계지, 육계, 오수유를 더할 수 있다.
③ 혈어: 혈괴(血塊)의 성약으로 그 혈괴는
산후의 오로가 그치지 않고,
어두운 자색의 혈색 등으로 나타난다.
익모초, 포황, 홍화를 더할 수 있다.
위 3가지는 산후 복통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 외 기침산(起枕散), 오로 배출 후 보허탕(補虛湯),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보허양영탕(補虛養榮湯) 등이 활용된다.
그리고 모유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방제들도 있다.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빼려면 ‘아침식사’가 중요하다 남성은 ‘탄수화물’ 먹고, 여성은? (1) | 2024.11.29 |
---|---|
"내가 설마 치매?"... 인지 기능저하, 스마트폰으로 측정! (0) | 2024.11.29 |
뺨에 난 반점, 여드름 아닌 암이었다…'이 행동' 자주 해서? (0) | 2024.11.28 |
★코 먹기vs코 풀기, 더 안 좋은 행동은? (0) | 2024.11.27 |
노년 건강 가로막는 5대 질환 예방법 7가지 (3)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