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742

와송의 효능

와송의 효능와송(瓦松)은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위의 바위에서 자라나는 일명 기와솔· 기와초. 바위솔(石松)이라 불린다경천과(景天科)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12세기부터 한방고서에 있는 본초(本草)로, 와송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악성종양, 해독, 지혈, 경혈이 막힌데 쓰여왔으며, 최근 국내 연구진들에 의하여 와송의 성분을 추출 연구한 결과 Oxalic acid '아플라톡신 B1', 다당체 올리고당... 등 와송이 함유한 특수성분이 발암물질을 억제하고 각종 암세포를 파괴하는 인체에 DNA면역항체를 조성하는 강한 항암효과와 세포의 재생, 활성화로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며, 간 해독, 신장세포 증진, 당뇨, 혈압, 위장, 대장종양, 혈변, 혈뇨,혈류증진으로 피를 맑게하고 ,남성의 전립선, 여성의 생리활성,..

약초의 효능 2025.02.28

밥-고기 먹을 때 생강-양파 꼭 추가했더니...몸에 어떤 변화가?

김용 기자발행 2025.02.27 19:02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열을 내는 성분이 있어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에 기여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비싼 건강식품을 일부러 살 필요가 없다. 삼시세끼만 잘 먹어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 포화지방이 많은 고기를 먹더라도 채소를 곁들이면 육류의 단점을 줄일 수 있다. 생강, 양파는 어떨까? 특히 생강은 예로부터 식용은 물론 약재로도 쓰일 만큼 약효가 뛰어나다. 친숙한 식재료 생강, 양파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이미 김치에 들어 있는 생강...양념으로 어떤 효과가?식사 때 일부러 생강을 추가하지 않아도 이미 김치에 들어 있다. 생강을 김치에 넣으면 살균작용과 함께 맛을 더하는 효과가 있다. 고기의 느끼함, 생선의 비린내 제거에 도움이 된다...

약초의 효능 2025.02.28

육종용(肉蓯蓉)의 효능

성미는 감함(甘鹹), 무독(無毒), 온(溫)이고 작용부위는 대장(大腸), 신(腎)입니다.수치법 : 주종용(酒蓯蓉)효능은1. 난요슬(暖腰膝) :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2. 보신양(補腎陽) : 신(腎)의 양기(陽氣)를 보하는 효능임.3. 익정혈(益精血) : 정혈(精血)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4. 윤장통변(潤腸通便) : 장(腸)을 적셔주고 대변(大便)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육종용(肉蓯蓉)은 여러해살이 기생풀인 육종용의 육질 줄기를 말린 것으로 높은 산 음지에 자생하는데 중국의 고비사막이나 백두산 오리나무 군락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육종용의 모양은 원기둥의 혹처럼 생겼으며 껍질이 솔방울과 같은 비늘모양을 하고 있다. 육종용은 보양효과가 뛰어난 한약재로 많 이 사용되고 있고,다른 이름으로는 육송..

약초의 효능 2025.02.27

북사삼(北沙蔘)의 효능

성미는 감(甘), 미한(微寒)이고 작용부위는 위(胃), 폐(肺)입니다.효능은1. 배농(排膿) :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2. 양음청폐(養陰淸肺) : 노권상으로 인한 해수(咳嗽)와 건해(乾咳)에 가래가 적고 갑자기 혈사(血絲)가 비치며오후저열(午後低熱), 도한(盜汗) 등의 폐열음허(肺熱陰虛) 증상이 나타났을 때 쓰는 방법임.3. 거담지해(祛痰止咳) : 담(痰)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한다는 뜻의 용어임.4. 보중(補中) :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5. 보음사화(補陰瀉火) : 음기(陰氣)를 보하여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6. 소종(消腫) :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7. 익위생진(益胃生津) : ..

약초의 효능 2025.02.27

지모(知母)의 효능

성미는 고감(苦甘), 무독(無毒),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신(腎), 위(胃), 폐(肺)입니다.효능은1. 자음강화(滋陰降火) : 신음(腎陰)이 휴손(虧損)되어 신화편항(腎火偏亢)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2. 윤폐활장(潤肺滑腸) : 폐(肺)를 적셔주고 대변을 잘 보게 해주는 효능3. 윤조활장(潤燥滑腸) : 마른 곳을 적셔주고 장(腸)을 매끄럽게 하는 효능4. 청열제번(淸熱除煩) : 열기를 식히고 열기로 인해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다스리는 효능임.(수치법)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편(切片)하여 인경상행(引經上行)에는 주침배건(酒浸焙乾)하여 사용하고,하행(下行)에는 염수구(鹽水灸)한다.산과들에서 자란다.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뻗으며 끝에서잎이 뭉쳐난다,잎은 줄모양이고 길이가 20∼70cm이며끝이 실처럼 가늘고 밑 ..

약초의 효능 2025.02.27

식사 때 깻잎-들깨 가루-들기름 자주 먹었더니...몸에 어떤 변화가?

김용 기자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한 들기름과 비타민이 많은 깻잎은 혈액-혈관에 좋은 작용을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깻잎은 주로 들깨의 잎을 말한다. 쌈 채소로 많이 사용한다. 들깨 가루는 국, 나물, 죽은 물론 크림 파스타, 드레싱, 라떼 등에도 넣어서 먹는다. 들깨의 기름인 들기름은 나물 무침, 비빔밥, 볶음 등 다양한 음식에 사용하지만,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튀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들깨 관련 식품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혈액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 풍부...깻잎은 느끼함, 비린내 줄이기도들깨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다. 기름이 43%, 단백질 18%, 탄수화물 28% 포함되어 있다. 특히 기름은 혈액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리놀렌산 ..

약초의 효능 2025.02.27

'달래'의 놀랍고도 독특한 효능

봄철이면특히 더 알싸하고 새콤한 맛을 자랑하는 ′달래′는봄나물에 걸맞게 독특한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이번에는향긋한 봄의 선물 ′달래′의 놀라운 효능과맛있는 레시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봄의 전령사, 달래의 효능1. 춘곤증 예방 및 완화달래에는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해 봄철 나른한 기운을 막는 춘곤증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습니다.2. 혈관 건강알싸한 맛을 내는 알리신이란 성분은 콜레스테롤 조절에 용이한데요.혈액이 엉겨 붙거나 혈관 벽에 들러붙는 것을 억제해 줍니다.3. 시력 보호시력을 강화해주는 베타카로틴과 비타민A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안구 혈액순환을 도와주어 시력을 보호해준다고 합니다.4. 체력 증가대장, 위, 폐에 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임금님께 가장 먼저 바치기도 했다지요.그 만큼 기..

약초의 효능 2025.02.27

두중(杜仲)의 효능

성미는 감미신(甘微辛), 무독(無毒), 온(溫)이며 작용부위는 간(肝), 신(腎)입니다.효능은1. 강근골(强筋骨) :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2. 안태(安胎) : 태동불안이나 활태(滑胎)가 발생한 적이 있는 임신부에게 유산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치료.3. 보간신(補肝腎) : 간(肝)과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4. 안태(安胎) :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수치법 : 염수구(鹽水灸)하거나 혹은 불에 약간 구워 안의 것이 약간 녹을 정도로 썰어서 사용.(염수초한 두충)두충은 본초명이 두중입니다. 동의보감에서도 소개될 정도로 유명한 한약재 중에 하나인 두충두충의 효능은 동의보감이라는 세계속의 한방 기록유산인 문헌에 기재된 내용으로 신장이 냉한것을 다스려주며 허리와 다리가 시리고 아..

약초의 효능 2025.02.26

여정실(女貞實)의 효능

여정실은 성미가 고감(苦甘), 무독(無毒), 양(凉)이고, 작용부위는 간(肝), 신(腎)입니다.수치법 : 자음윤조(滋陰潤燥)에는 생용(生用)하며 자보간신(滋補肝腎)의 목적으로는 주증(酒蒸) 혹은 초증(醋蒸)하여 사용한다.효능은1. 안오장(安五臟) :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2. 건요슬(健腰膝) :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3. 명이목(明耳目) :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4. 보음(補陰) : 음기(陰氣)를 보하는 효능5. 산화(散火) : 화기(火氣)를 흩뜨리는 효능6. 오수발(烏鬚髮) :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7. 양정신(養精神) : 양혈(養血)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8. 조중(調中) :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9. 자보간신(滋補肝腎) : 간신(肝腎)을..

약초의 효능 2025.02.26

인동초(忍冬草)의 효능

인동(忍冬)의 성미는감(甘),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심(心), 폐(肺)입니다.효능은1. 거풍(祛風) : 풍사(風邪)를 소산(消散)시키는 것으로서, 표리, 장부, 경락에 유체(留滯)되어 있는 풍사를 제거하는 방법이다.풍은 외풍(外風)과 내풍(內風)으로 나누어 치료하는데, 외풍은 소산(疏散)하고, 내풍은 식풍(熄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따라서 거풍법(祛風法)은 외풍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을 가리킨다.2. 거풍(祛風) :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3. 보허요풍(補虛療風) : 허한 것을 보하여 풍병(風病)을 치료하는 효능4. 산열해독(散熱解毒) : 열을 흩뜨리고 해독하는 효능5. 제리(除痢) : 이질(痢疾) 또는 리(痢)를 제거하는 효능6. 지갈(..

약초의 효능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