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은성미는 무독(無毒), 신(辛), 온(溫)하고 작용부위는 신(腎), 심(心), 폐(肺)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MxZeC/btsMbywY29j/Qr18INY2RpXtk1PpERACxK/tfile.jpg)
효능은
1. 온폐(溫肺) :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2. 거풍산한(祛風散寒) : 풍(風)을 제거하고 한(寒)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임.
3. 발한(發汗) :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4. 온중(溫中) :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5. 온폐화음(溫肺化飮) : 폐(肺)를 따뜻하게 하여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임.
6. 통규지통(通竅止痛) :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고 통증을 멎게하는 효능임.
![](https://blog.kakaocdn.net/dn/FH0D5/btsMcJxi74S/gAn7K4EFk5V5Ncqq7ESyT0/tfile.jpg)
족두리풀 (세신)
족두리풀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꽃의 모양이 옛날 결혼식에 사용하던 족두리와 비슷하여
족두리풀이란 식물명이 붙여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도감이나, 약초책에서는 '족도리풀' 이라고 잘못 표기 되어 있다.
족두리풀은 다년초로서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줄기 끝에 2개가 나며,
사람의 콩팥모양이며,
길이 10-15cm이다.
꽃은 4-5월에 쥐방울 모양의 홍자색이 핀다.
![](https://blog.kakaocdn.net/dn/DRm3r/btsMcz9pIjb/MnoWkH6iobQkY5inYDLKQk/tfile.jpg)
세신은 뿌리가 가늘면서 매운 맛이 있기 때문에 세신(細:가늘세 辛:매울신)이라고 한다.
뿌리를 캐어 코에 대보면 시원한 향이 가슴을 뚫리게 하며 그 냄새가 기분을 좋게 한다.
전국 각지에 해발 100~1,700미터 되는 산골짜기 넓은 잎나무 밑의 비옥하고 습한 그늘에서 잘 자란다.
북부 지방에서는 잎과 꼭지에 털이 적고 갈라진 꽃잎 조각이 뒤로 젖혀진 민족두리풀이 자란다.
![](https://blog.kakaocdn.net/dn/bXcNNK/btsMczhhnFq/8T8fK1ekZxIk4TU42CkFF0/tfile.jpg)
허준이 펴낸 <동의보감>에서는 세신을 이렇게 적고 있다.
세신(細辛)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몹시 매우며[大辛](쓰고[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데 쓰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후비(喉痺)와 코가 막힌 것을 치료하며 담기를 세게[添] 한다.
두풍(頭風)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이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담을 삭이며 땀이 나게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sZNEN/btsMa4JKwDd/nkCcKO33cDoKTR9QtI5Fyk/tfile.jpg)
세종대왕이 편찬한 <향약집성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해역, 두통, 뇌동, 백절구연, 풍습비통, 사기를 치료하고 속을 따뜻하게 해주며
기를 내리고 가래를 삭히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또한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후비, 비농, 풍간, 전질도 치료하며
유결(젖멍울), 땀이 나지 않는 증상, 피가 잘 돌지 못하는 증상도 치료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간담을 보하며 정기를 통하게 한다.
오래복용하면 눈이 맑아지고 구규(인체의 아홉구멍)가 잘 통하며 몸이 거뜬해지면서 장수한다.
일명 소신이라고도 한다.
산에서 자라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채취해서 그늘에서 말려 쓴다.
조근을 사약으로 쓰며 결명자, 잉어쓸개, 양의 간등과 배합하여 쓰면 목통(눈아픔)이 치료된다.
낭독, 산수유, 단너삼과 서로 상악약이며,
활석은 상외약이며 여로는 상반약이다
." 또한 모든약을 포제하는 법이란
제목하에 초부에서 ‘세신’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노두와 흙, 잎은 버리고(먹으면 해롭다)
오이 생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아침에 건져서 햇볕에 말려 쓴다.
곧고 가늘며 초피나무처럼 맛이 매운 것이 좋은 것이다.
또는 노두와 흙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려 쓰기도 한다.“
우리가 먹는 은단에도 세신이 들어있습니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마늘 다진마늘 익힌마늘 영양이 모두 달라요 (0) | 2025.02.11 |
---|---|
패장(敗醬)의 효능 (0) | 2025.02.10 |
노근(蘆根)의 효능 (0) | 2025.02.10 |
대표적인 봄나물 - 달래의 효능 (0) | 2025.02.10 |
🍆뱃살제거와 백(녹)내장 예방에 좋은, 가지물 만드는 법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