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는 무독(無毒), 신(辛), 온(溫)하며 작용부위는 간(肝), 담(膽), 심포(心包)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0ShDX/btsMevr4hV5/g6bS0A6ImkPwP0vKKNRoO0/tfile.jpg)
효능은
1. 활혈행기(活血行氣) :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氣)의 운행이 원활하게 돕는 치료 방법임.
2. 배농(排膿) :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3 거풍지통(祛風止痛) :
풍(風)을 제거하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4. 통경(通經) :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5. 통락(通絡) :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https://blog.kakaocdn.net/dn/YvApg/btsMdK4rr9m/1Hvulj9RktJ8rePEZirwak/tfile.jpg)
여성의 순산을 돕는 처방중의 하나인 불수산(佛手散)은
부처님의 자비로운 손바닥으로 아이를 잘 받아준다라는 뜻처럼
출산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유명한 약이었다.
바로 이 불수산이 천궁과 당귀 두 가지 약재만을 배합해 만든 처방입니다.
천궁은 대표적인 한의학 기본 처방인 사물탕의 한 재료로 쓰일만큼 그 쓰임새가 큰 약초입니다.
천궁은 여러 약리실험 결과,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돕고,
혈소판 응집을 막아준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시험관 실험에서(in vitro) 혈전 형성을 억제하며
혈전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천궁의 구성성분증 하나인 페룰산(ferulic acid)은
뇌출혈이나 뇌경색 떄문에 편마비가 왔을 때도 응용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천궁은 관상동맥질환 등으로 생기는 협심증에도 다른약재와 함께 사용된다면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는데
천궁과 홍화(어혈제거) 두 가지 약재를 써서 협심증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78%가 넘는 요효율을 보였다고 합니다.
또한 천궁은 효능에도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고,
경락을 소통시켜주며,
떨림 증세를 낫게하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어 두통치료에도 쓰이는 약재중 하나입니다.
천궁을 포함하는 한의학 처방이 1,700개가 넘어 천궁의 활용이 이 많큼 크다는것을 보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ejQP/btsMeauVc41/LzgFkjyhEsAk8xvg8ksWkK/tfile.jpg)
(제가 핸드폰으로 찍은 제가 사용하는 천궁의 원산지 중국천궁입니다)
천궁과 궁궁이는 다른 식물입니다.
인터넷이나 기타 정보에 의하면
궁궁 (芎藭) 이를 천궁이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궁궁이는 당귀와 같은 당귀속이고
천궁은 기름당귀속으로 엄연히 다른 식물입니다.
작용부위도 다르고 효능도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하는 천궁은 중국이 원산지인 중국천궁과 일본에서 종자를 가져와 심고 재배하는 일천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토천궁(한국천궁)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입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에서 500년 묵은 잎사귀가 발견되어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이 식물은 궁궁이가 아니라 중국천궁으로 밝혀져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芍藥)의 효능 (0) | 2025.02.11 |
---|---|
통마늘 다진마늘 익힌마늘 영양이 모두 달라요 (0) | 2025.02.11 |
패장(敗醬)의 효능 (0) | 2025.02.10 |
세신(細辛)의 효능 (0) | 2025.02.10 |
노근(蘆根)의 효능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