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황련(黃連)의 효능

산다람지 2025. 2. 15. 08:47

이 약은 고르지 않은 원주형으로 길이 2-4cm, 때로는 10cm에 이르며
지름 2-7mm로 다소 구부러져 있고 때때로 갈라져 있다.

바깥면은 회황갈색을 띠고 돌림마디가 있고 줄기의 잔기와 다수의 뿌리의 기부를 볼 수 있다.
한쪽 끝에 엽병의 잔기가 있으며
그 대부분은 흔히 그을려 있다.
꺾은 면은 약간 섬유성이고 코르크층은 엷은 회갈색, 피층은 황갈색, 목부는 황색, 수는 황갈색이다.

이용부위 :
뿌리줄기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생용(生用)하거나,
주구(酒灸), 강구(薑灸), 오수유구(吳茱萸灸)하여 사용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한성(寒性)을 감약시키기 위한 것이며,

(1) 주황연(酒黃蓮)-청상초화열(淸上焦火熱)

(2) 강황연(薑黃蓮)-청위화위지구(淸胃和胃止嘔)

(3) 유황연(萸黃連)-서간화위지구(舒肝和胃止嘔)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성미는 고(苦), 무독(無毒),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간(肝), 대장(大腸), 비(脾), 심(心), 위(胃)입니다.

효능은
1. 사화해독(瀉火解毒)  :
치료원칙. 화열(火熱)과 열결(熱結)을 풀어 주면서 해독하는 것이다.
온독(溫毒), 창양열독(瘡瘍熱毒) 등의 병증에 사용하는 방법임.

2. 살충(殺蟲) :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3. 안회(安蛔) :
회충(蛔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4. 양혈(凉血) :
한랭(寒冷)한 약물을 사용하여 혈분(血分)에 열(熱)이 성(盛)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5. 청심제번(淸心除煩) :
심열(心熱)을 제거하여 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6. 청열조습(淸熱燥濕) :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임.

황련(黃蓮)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중국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됩니다.

황련이라는 이름은 그 뿌리의 노란색과 특유의 쓴맛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며,
말려서 분말 형태로 가공하거나 끓여서 탕약으로 활용됩니다.

황련의 주요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팔마틴(Palmatine), 코플티신(Coptisine) 등이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항염증, 항균, 항산화 작용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통 의학에서 황련이 널리 사용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특히 베르베린은 현대 의학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성분입니다.
황련은 중국과 한국의 전통 의학에서 천 년 이상 활용되어 왔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황련이 "마음을 안정시키고 열을 내리며 습기를 제거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주로 소화기 질환, 염증성 질환, 고열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의 고대 의서인 『본초강목』에서도 황련이 주요 약재로 다뤄졌습니다.

황련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 다른 약재와 함께 조합하여 처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방에서는 환(丸), 산(散), 탕(湯)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황련해독탕은 황련과 황백, 치자, 황금 등의 약재를 조합하여 만든 처방으로,
열을 내리고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 황련과 그 성분인 베르베린은 현대 의학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항염증 및 항균 작용으로 인해 천연 항생제 대체제나 대사 증후군 치료 보조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황련의 전통적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건강 보조제나 기능성 식품에도 점차 활용되고 있습니다.

작성자:청성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