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HypHR/btsMhRW12Pz/yw8N4ioPDixkxPJrO4Sxq1/tfile.jpg)
성미는 고(苦), 무독(無毒),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담(膽), 대장(大腸), 비(脾), 소장(小腸), 심(心), 위(胃), 폐(肺)입니다.
이 약은 원주상-반관상 또는 평판상으로 이루고
길이 5-25cm, 지름 5-30m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을 띠고 조잡하고 뚜렷한 세로의 주름이 있으며
군데군데 곁뿌리의 자국 및 갈색의 주피 파편이 남아 있다.
위쪽 끝에는 줄기의 자국 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다.
묵은 뿌리에서는 목부가 썩어서 흑갈색으로 되고 때때로 속이 비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꺾은 면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뿌리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윤투(潤透)시킨 다음 절편(切片)하여 사용한다.
생용(生用)은 청열사화(淸熱瀉火)의 힘으로 강화(降火) 시키고
초용(炒用)은 한성(寒性)을 감약(減弱)하여 안태(安胎)에 응용하며
주구(酒灸)는 청상초열(淸上焦熱)하기 위한 것이고
동변구(童便灸)는 하기(下氣)에 응용한다.
효능
1.사화해독(瀉火解毒) :
치료원칙. 화열(火熱)과 열결(熱結)을 풀어 주면서 해독하는 것이다.
온독(溫毒), 창양열독(瘡瘍熱毒) 등의 병증에 사용하는 방법임.
2. 안태(安胎) :
태동불안이나 활태(滑胎)가 발생한 적이 있는 임신부에게 유산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치료.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3. 지혈(止血) :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4. 청열조습(淸熱燥濕) :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임.
![](https://blog.kakaocdn.net/dn/cmjnQ7/btsMhQX7B0t/hHfFkSCx8B9WLmmg3YZGh0/tfile.jpg)
원산지는 중국입니다.
각지에 재배하여 널리 약용으로 쓰이고 있다.
약효성분은 바이카레인(Baicalein)·바이카린(Baicalin)·워고닌(Wogonin)·워고노사이드(Wogon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은
실화(實火)를 내려주므로 신체에 열이 많고 번조와 갈증을 심하게 나타내면서 심하면 의식이 혼몽한 증상을 개선시킨다.
감기로 인한 고열에서부터 일반적인 전염성질환의 고열에 해열효과가 높다.
폐에 열이 쌓여서 일어나는 해소에 현저한 반응을 보이는데,
이것은 급성폐렴이나 급성기관지염의 고열해소, 천식에 탁월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장에 열이 있으면서 소화장애가 심하고
더 악화되면 입 안이 헤지고 구내염이 발생하면서
음식물을 먹을 수 없는 증상에도 활용되며 급성황달에도 효력을 보인다.
체내에 열이 과다하게 쌓여서 일어나는 안구충혈과 동통을 제거하고
고혈압·두통·코피·자궁출혈에도 활용되며,
피부발적 종기에도 효력이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은 찬 약성이 열을 내리므로 증상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부인이 임신중에 복용하면 임신질환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열이 심하여 일어나는 갈증을 풀어주고
전신의 관절마디마다 열이 나고 아픈 증상을 해소시킨다.
약리실험에서는 항염증반응·항병원미생물작용·해열·이뇨·혈압강하작용·혈당과 고지혈증강하·담즙·분비촉진·진정작용 등이 나타났다.
임상실험결과에서는
소아급성호흡기 감염증·만성기관지염·급성이질·전염성간염·신염·신우신염·고혈압 등에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
1회에 4∼12g을 복용하고,
금기로는 혈압이 낮고 몸이 찬 사람과 설사에는 복용을 피한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향(乳香)의 효능 (0) | 2025.02.15 |
---|---|
황련(黃連)의 효능 (0) | 2025.02.15 |
봄의 시작을 알리는 '고로쇠물'의 효능은? (1) | 2025.02.14 |
행인(杏仁)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 2025.02.14 |
부자(附子)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