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향부자(香附子)의 효능

산다람지 2025. 2. 14. 19:45

성미는 신미고감(辛微苦甘), 평(平)하고 작용부위는 간(肝), 비(脾), 삼초(三焦)입니다.

효능은
1. 이기(理氣) :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2. 조경(調經) :
12경맥(經脈)을 도와주는 효능임.

3. 지통(止痛) :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4. 해울(解鬱) :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단(切斷)하여 생용(生用)하거나 초초(醋炒)하여 사용한다.
또는 일반적으로 생용(生用)하며,
주초(酒炒)하여 상초(上焦)의 머리가 아프거나 멍할 때 사용되고,
동변침(童便浸)하여 하초(下焦)이하의 대소변(大小便) 장간막경련(腸間膜痙攣)에 사용되며,
초초(醋炒)하여 뭉친 덩어리(腹中積)를 풀때 사용된다.

특성 및 이용
뿌리줄기(향부자) :
가을에 뿌리를 캐어 뿌리줄기의 겉에 있는 털을 태우고 말린다.
뿌리줄기가 잇닿아 붙어 있으면서 향기가 있기 때문에 향부자라고 한다.

성분과 작용 :
덩어리진 뿌리줄기에는 정유, 쿠마린, 타닌질, 기름, 당분(포도당, 과당), 녹말이 있다.
뿌리줄기 전체에는 정유, 알칼로이드, 강심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당분, 펙틴, 기름, 수지, 유기산이 들어있다.
뿌리줄기의 유동엑스는 진통작용과 자궁의 긴장성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일부 실험자들은 자궁을 수축한다고 한다.
또한 강심작용과 이뇨작용이 있으며 피를 잘 돌게 한다.

응용 :
통경약, 정혈약으로 월경불순, 월경통, 산전산후의 부인병에 널리 쓰인다.
또한 해열진정약, 소화약으로 처방에 넣어 감기, 두통, 복통, 밥맛이 없을 때 쓴다.
향부자는 생약명으로 향부자(香附子)라고 하며 다른 이명으로는 뇌공두(雷公頭), 작두향(雀頭香), 사초근(莎草根), 향부(香附)라고 한다.
중남부 지방, 제주도에 분포하며
주로 해변, 모래땅, 개울가, 들의 습지에 자생한다.
약효는 덩이뿌리에 있고 가을에서 이듬해 봄까지 채취를 하여
채취한 사초의 뿌리줄기를 햇볕에 건조한 후 잔뿌리는 태워서 제거하고
이를 생용 하거나 쌀로 만든 식초에 담가서 불에 같이 볶아서 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끝 부분에 덩이뿌리가 생기고 수염뿌리가 내린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아래쪽은 둥글고 위쪽은 세모져 있다.
덩이뿌리의 살은 희고 향기가 난다.
관상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호흡기, 신경계질환 등을 다스린다.

한방에서는 두통. 복통 및 월경불순에 사용한다.
향부자는 기와 여성에 적용하는 중요한 약으로써,
주된 기능은 기를 관장하여 기가 막혀 원활히 순행하지 못하여 생기는 여러 증상에 사용된다.
기가 위로 올라가 뭉친 것을 풀어주며 기를 아래로 내리고 가슴속의 열을 없앤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기를 보하고 속이 답답한 것을 풀어주며,
그리고 여성의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경우 향부자를 복용하면 여성의 월경이 고르게 된다.

또한 한의학에서 음식을 먹고 체하는 것을 식체라 하는데
음식의 기운이 뭉쳐져 있는 증상에 향부자를 이용하면 식체를 해소시킨다.

동의보감에는 향부자는 여성에게 좋은 약으로 나타나 있다.
여성의 심성까지도 치료가 된다고 적혀있는데
부인의 성격이 너그럽지 못하고 우울증이 많을 때
향부자는 맺힌 것을 잘 헤치고 어혈을 잘 몰아낸다고 했는데
이것은 흔히들 말하는 "가슴에 맺힌 것이 많다"라는 말에 빗대어 보면
막힌 기를 소통시켜 가슴에 막힌 것을 풀어준다는 말과 일맥상통하다.

*향부자가 들어있는 한의학 처방은 약 800개가 넘습니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인(杏仁)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2025.02.14
부자(附子)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2025.02.14
황백(黃柏)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2025.02.14
지치 효능  (0) 2025.02.13
산약(山藥)의 효능  (0)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