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황백(黃柏)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산다람지 2025. 2. 14. 14:52

이 약은 판상-반관상의 조각으로 두께 2-4mm, 너비 5-15cm, 길이 20-40cm이나 때로는 파편이 섞여 있다.

바깥면은 회황갈색-회갈색이고 피목의 자국이 많이 있다.
안쪽면은 황색-어두운 황갈색으로 가는 세로줄을 볼 수 있고 매끈하다.
꺾은 면은 섬유성이고 밝은 황색을 띤다.

이용부위 :
껍질을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실화(實火)를 사(瀉)하려면 생용(生用)하고,
음허화염(陰虛火炎)에는 주제(酒製)하며,

하초(下焦)의 화(火)를 치료하려면 강제(薑製)하고,
허화(虛火)에는 염수초(鹽水炒)하며,
지대(止帶)에는 초흑(炒黑)하여 사용한다.

성미는 고(苦), 무독(無毒), 한(寒)하고 작용부위는 대장(大腸), 방광(膀胱), 신(腎)입니다.

효능은
1. 사화해독(瀉火解毒) :
치료원칙. 화열(火熱)과 열결(熱結)을 풀어 주면서 해독하는 것이다.
온독(溫毒), 창양열독(瘡瘍熱毒)등의 병증에 사용하는 방법임.

2. 자음강화(滋陰降火) :
신음(腎陰)이 휴손(虧損)되어 신화편항(腎火偏亢)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임.

3. 청심제번(淸心除煩) :
심열(心熱)을 제거하여 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4. 청열조습(淸熱燥濕) :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임.

황벽나무는 운향과의 갈잎큰키나무이다.
주로 깊은 산에서 자라는데,
나무껍질은 흑회색~연한 회색이며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이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적갈색~황갈색이고
겨울눈은 반구형으로 잎자루 속에 숨어 있다가 낙엽이 지면 겉으로 드러난다.
높이가 10~20미터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깃꼴겹잎인데 5~13개의 작은잎은 달걀모양~좁은달걀모양이며,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나고 뒷면은 흰빛이 돌고 잎맥 아래쪽에 털이 약간 있다.

암수딴그루로, 6월에 가지 끝에 작고 자잘한 노란 꽃이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잎은 5~8장이고, 수꽃에는 5~6개의 수술과 퇴화한 암술이 있다.
암그루에는 7~10월에 공모양의 열매가 열려서 검게 익으며 5개의 씨가 들어 있다.
쓴맛이 나는 속껍질의 색깔이 선명한 개나리 꽃잎보다도 더 노란빛의 속껍질이 나타나서 "황벽(黃檗)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잎 뒷면에 흰색털이 촘촘히 있는 것을 "털황벽"이라고 한다.

운향과의 황벽나무는 동아시아에 약 9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황벽나무(황경나무, 황경피나무), 넓은잎황벽나무(큰황경나무, 북황경나무), 섬황경나무(섬황벽), 털황경피나무(털황벽)가 자라고 있다.

황백(黃柏)은 황벽나무(Phellodindron amurense Rupr.),
털황경피나무(Phellodindron molle Nakai),
섬황경피나무(Phellodindron insulare Nakai)
큰황경피나무(Phellodindron sachalinense Sarg.)의 나무껍질이다.
속껍질은 노란 물감을 만드는 데도 쓰이며,
두꺼운 겉껍질은 코르크를 취하여 병마개, 게시판 등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황벽나무의 다른 이름
황백(黃柏: 본초강목), 벽목(檗木: 황벽:黃檗: 신농본초경), 벽피(檗皮: 상한론), 황파라(黃波羅: 황백률:黃柏栗: 황피수:黃皮樹,
회피백:灰皮柏, 화황백:華黃柏: 중약대사전), 자벽(子蘗, 소벽:小蘗, 단환:單桓: 동의학사전), 황경피나무, 황백나무, 황경나무 등으로 부른다.

황백, 황경피나무의 특성
황경피나무는 키 높이가 15~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에 연한 회색의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해서 세로로 깊은 홈이 져있고,
내피는 선황색이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5~11㎝, 너비 2~4㎝이며, 부드러운 털이 약간 있다.

6월경에 황록색의 꽃이 피고 7월에서 10월에 걸쳐 둥글고 검은 색의 열매가 익는다.

황백, 황경피나무의 성분
황백 속에는 베르베린, jatrorrhizine, magnoflorine phellodendrine, N-candicine, palmatine, menisperine, obacunone, obaculactone, dictamnolide, obacunonic acid, β-sitosterol, campesterol이 들어 있다.

황백의 약리작용
1) 항균작용 ;
항균작용의 유효성분은 베르베린이고
생약으로 비교했을 때는 황련의 1/2정도에 해당하며,
결핵환자의 임상증상과 X-ray 검사에서 증상을 호전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황련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2) 혈압강하 작용 ;
마취된 동물의 복강 또는 정맥에 황백을 주사하면 현저하고 지속적인 혈압강하작용이 나타나고,
경동맥에 주사했을 때는 정맥주사보다 더 강한 작용을 나타낸다.

3)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 ;
황백은 췌장루가 있는 토끼에게 투여했을 때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했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附子)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2025.02.14
향부자(香附子)의 효능  (0) 2025.02.14
지치 효능  (0) 2025.02.13
산약(山藥)의 효능  (0) 2025.02.13
침향(沈香)의 효능  (0)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