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는 감담(甘淡), 무독(無毒),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방광(膀胱), 신(腎)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aAvP/btsMg7lRKQ9/CTRECxruU1JeasVHoK2cBk/tfile.jpg)
효능은
1. 행수(行水) :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2. 거포중유구(祛胞中留垢) :
자궁이나 방광 등에 밑에 가라앉은 찌꺼기가 있는 것을 제거한다는 뜻임.
3. 보부인혈해(補婦人血海) :
부인의 충맥(衝脈)을 보하는 효능임.
4. 사방광화(瀉膀胱火) :
방광(膀胱)에 화기(火氣)가 왕성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5. 설열(泄熱) :
열을 내리는 효능임.
6. 양오장(養五臟) :
오장(五臟)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능임.
7. 이수삼습(利水滲濕) :
이수(利水)하며 수습(水濕)을 배출하는 효능임.
8. 청습열(淸濕熱) :
습열의 사기가 침입하였을때 열기를 식히면서 소변을 통해 습사를 빼내는 효능임.
9. 축삼초수(逐三焦水) :
삼초에 차있는 수기(水氣)를 빼내는 효능임.
10. 통소장(通小腸) :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https://blog.kakaocdn.net/dn/bh78VB/btsMiBsuH4L/XGbFGfOQLksriLtn8JSk50/tfile.jpg)
택사(澤瀉)
다년초로 지하경은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감싸는 엽병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0~35cm이다.
잎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 폭 1~4cm이고 5~7개의 맥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은 줄기가 3개씩 윤생하고 길이 30~130cm로서 윤상으로 달리며 백색이다.
포는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3개이고 편원형으로 녹색이며 길이 2.5mm이다.
꽃잎도 3개이고 도란상원형이다.
수술은 6개이고 은 황색이며, 암술은 여러개이며 1열로 환상으로 배열된다.
택사에는 칼리움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택사를 복용하면 뇨중의 칼리움(K)의 배출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택사의 이뇨작용은 택사에 함유되어 있는 칼리움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택사는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압 및 혈중의 당(糖)의 량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문헌에 나타난 택사 )
逐膀胱停水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通小腸止遺瀝
방광에 몰린 물(오줌)을 치료하고 오림(다섯가지 임질), 방광의 열을 없애므로 의당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을 치료하게 된다.
生水澤中處處有之八九月採根暴乾(本草)
택사는 물이 있는 못에서 자라며 그런 곳이면 도처에 있고,
음력 8 - 9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入足太陽經少陰慶
족태양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가
除濕之聖藥也然能瀉腎不可多服久服本經云多服病人眼(湯液)
습을 없애는 성약(좋은 약)이니라,
그러나 신(腎)을 다칠 수 있으므로 많이 먹거나 오래먹어서 아니되며,
본경(신농본초경)에 전하기는 많이 먹으면 눈병이 생긴다고 하였으니(탕액본초).
入藥酒浸一宿?出暴乾用仲景八味丸酒蒸用之(入門)
택사를 약에 넣을 때는 술에 하룻밤 담가 재어뒀다가 꺼내서 햇볕에 바빡 말려 쓰고,
참고로 장중경의 팔미환(八味丸)이란 처방은 술에 축여 썼다고 되었으니 참고하시라(의학입문).
작성자:청성락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모(貝母)의 효능 (0) | 2025.02.15 |
---|---|
유향(乳香)의 효능 (0) | 2025.02.15 |
황련(黃連)의 효능 (0) | 2025.02.15 |
황금(黃芩)의 효능 작성자:청성락 (0) | 2025.02.14 |
봄의 시작을 알리는 '고로쇠물'의 효능은?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