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빈랑(檳榔)의 효능

산다람지 2025. 2. 18. 17:36

빈랑(檳榔)의 성미는 고신(苦辛), 무독(無毒), 신고(辛苦), 온(溫)하고 작용부위는 대장(大腸), 비(脾), 위(胃)입니다.

효능은
1. 공견(攻堅) :
단단한 것을 부드럽게 하고 적(積)을 갈아 없애며 혹은 어혈(瘀血)을 없애는 성질의 약물을 사용하여 단단한 응어리를 제거시키는 소법(消法)의 하나임.

2. 소담(消痰) :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3. 장양(壯陽) :
치료 방법으로 온보약(溫補藥)으로 허쇠한 심, 신의 양기를 강장(强壯)시키는 것임.

4. 절학(截瘧) :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5. 하기(下氣) :
기(氣)를 내림.

6. 행수(行水) :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임.

7. 이구규(利九竅) :
인체의 아홉가지 구멍을 이롭게하는 치료방법임.

8. 강기(降氣) :
기가 상역(上逆)하는 것을 끌어내리는 치법으로, 천식, 해수, 애역(呃逆) 등의 증상에 적용함.
기(氣)의 상역(上逆)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기(氣)를 내려주는 것임.

9. 보신(補腎) :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10. 살충(殺蟲) :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11. 생기(生肌) :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12. 성주(醒酒) :
술을 깨는 효능임.

13. 소적(消積) :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14. 지통(止痛) :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15. 파적(破積) :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16. 파창(破脹) :
이유 없이 배가 그득히 부른 것을 흩어주는 효능임.

17. 파체산사(破滯散邪) :
기(氣)가 정체된 것을 풀어주고 사기(邪氣)를 흩어주는 효능임.

18. 하수종(下水腫) :
수종(水腫)을 내리는 효능임.

19.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20. 화체(化滯) :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청수(淸水)에 담가두어 거품이 일어나면 꺼내서 절편(切片)한 후 쇄건(晒乾)하는데, 생용(生用) 혹은 초용(炒用)한다.

-빈랑탄(檳榔炭) :
빈랑편(檳榔片)을 중간 불로 볶아 표면이 흑갈색이 되고 불꽃이 보이면 찬물을 조금 뿜고 꺼내서 식힘.

초빈랑(炒檳榔)과 비슷하며 소식도체(消食導滯) 효과가 있으므로 식적불소(食積不消), 이질의 이급후중(裏急後重)에 씀.

-초빈랑(炒檳榔) :
빈랑(檳榔)의 생품은 작용이 강하여 살충(殺蟲), 강기(降氣), 행수소종(行水消腫), 절학(截瘧)에 쓰이나 정기(正氣)를 상할 수 있다.
그러나 초(炒)하면 약성이 완화되어 정기의 손상을 면할 수 있고 복용 후의 구토, 설사, 복통 등 부작용을 줄인다.
깨끗한 빈랑편(檳榔片)을 약한 불로 볶아서 겉이 초흑색(焦黑色)을 나타내면 꺼내서 말림.

(제가 핸드폰으로 찍은 빈랑의 약재사진이며 만성적인 소화장애중 뱃속에 덩어리가 있는 적취(積聚)를 제거하는데 자주 사용하는 약재중 하나입니다.)

말레이시아가 원산이다.
높이 25m 이상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길이 1∼2m 되는 깃꼴겹잎이며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싼다.

잎 끝은 갈라져 톱니 모양이며 잎자루는 짧다.
열매는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긴 것이 있고 지름 3cm 정도로 노란색·오렌지색·홍색 등이다.

빈랑자에는 타닌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므로 촌충구제·설사·피부병·두통 등에 사용하고,
어린 잎은 식용한다.

열매는 염료로서 많이 사용하여 왔다.


작성자:청성락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릿대의 다양한 효능  (0) 2025.02.19
오약(烏藥)의 효능  (0) 2025.02.19
여정실(女貞實)의 효능  (0) 2025.02.18
대산(大蒜)의 효능  (0) 2025.02.18
★밤-대추 자주 먹었더니 몸에 어떤 변화가?  (0)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