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효능

숙지황(熟地黃)의 효능

산다람지 2025. 2. 23. 20:16

성미는 감(甘), 무독(無毒), 미온(微溫)이고 작용부위는 간(肝), 신(腎), 심(心)입니다.

효능은

1. 보허 : (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

2. 양혈(養血) :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

3. 익정전수(益精塡髓) :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고 골수(骨髓)를 메우는 효능

4. 자보간신(滋補肝腎) :
간신(肝腎)을 기르고 보익(補益)하는 효능

5. 자음보혈(滋陰補血) :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보익(補益)하는 효능

6. 자음양혈(滋陰養血) :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기르는 효능

7. 통신장수(通腎壯水) :
신기(腎氣)를 소통시키고 수(水)의 기운을 길러주는 효능임

지황이란 원산지가 중국이며 흙에서 나는 노란색 식물(뿌리)를 말합니다.
늦가을에 수확해서 물에 띄워보면 물위에 뜨는것은 건지황, 가라앉는것은 숙지황의 원재료가 됩니다.

지황은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더운성질의 술인 막걸리또는 황주에 담궈서 말리고 찌고를 아홉번 해야 좋은 숙지황(성미가 차가운것에서 미온으로 바뀜)으로 변합니다.

지황은 거의 모든 보음 한약에 다 들어갈 정도로 중요한 약재이고
인삼이 양적인 기운을 빨리 돋구워준다면 숙지황은 음적인 정기를 만들어 사람의 몸에 보혈 작용 및 정기를 서서히 나타내게 합니다..

사물탕(인삼, 숙지황, 당귀, 천궁)의 재료중 하나이며
경옥고를 만드는 재료중 하나인 생지황이 숙지황의 원 약재이기도 합니다.

인터넷상에 숙지황을 만드는법이 공개되어 만들어 볼수는 있으나
개인이 50여일 걸리는 구증구포를 하기도 힘들고 가격도 인삼에 비하면 싸기 떄문에 그냥 사서 사용하는것이 제 생각엔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대신 질 좋은 최고의 구증구포된 숙지황을 사다가 써야만 하겠지요.

그럼 시중에서 사서 쓰는 숙지황중 어떤것이 좋고 나쁜지는 알아야하겠죠...

숙지황을 칼로 잘랐을때 쉽게 잘라지는것은 구증구포가 안된 약재라는것을 입증합니다.
구증구포가 잘된 숙지황은 커터칼이 아닌 부엌칼로 도마에 놓고 엄청 힘을 가해야 겨우 잘라집니다.

또한 구증구포한 진품 숙지황은 입에 넣고 씹으면 이가 부러질 정도로 돌처럼 딱딱하다 입안의 온도로 서서히 녹아 내리는것이 진품입니다.

국내에 숙지황 명인이 만든 숙지황은 단 하나가 있습니다.
물론 특허를 받은 약재로 특허품인 이 숙지황은 국내에 하나 뿐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명품 숙지황은 맛이 약간 달고 담백합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숙지황은 다들 구증구포가 됐다고 숙지황 봉지에는 씌여져 있지만
구증구포가 안되고 대충 3증 3포나 5증 5포한것들이 거의 다라고 보면 됩니다.
구증구포한것은 그러한 숙지황처럼 가격이 저렴하지도 않고 흔하지도 않습니다.
짝퉁 숙지황은 입에 넣고 먹기가 곤란하며 쓰고 뱉어버릴 정도의 이상한 맛이 입안에 돕니다.  

구증구포가 잘된 숙지황으로 탕약을 달여야 약성이 뛰어납니다...
참고로 저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국내에 한분밖에 없는 숙지황 명인이 만든 이 숙지황만 씁니다.

이 숙지황을 아는분이나 써보신분들은 이 숙지황을 구해달라고 개인적으로 제게 부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숙지황의 효능을 알아보겠습니다.

◆ 숙지황 효능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 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반하(半夏)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영양분이 많고 기름기가 있어 소화력이 약한 있는 사람이 복용하면
소화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腹脹), 속이 더부룩함 등 부작용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 간. 심장.신장의 경락에 작용하며 심포경, 간경, 담경에도 작용한다

◆ 사물탕 및 경옥고의 주요 약재중 하나이며  
보혈의 주된 처방에 사용된다.생뿌리를 생지황 [生地黃]이라한다

◆ 허약체질, 토혈, 코피, 자궁출혈, 생리불순, 변비에  건조시킨  건지황[乾地黃]을 사용하며

◆ 열병후에 생긴 갈증, 장기내부 열로 인한 소갈증, 토혈과 코피 나는데 쪄서 말린것 숙지황[熟地黃]을 사용한다

◆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 허약체질, 어린이의 발육부진, 치매, 조루증, 발기부전 등에도 효험이있다.


작성자:청성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