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는 소독(小毒), 신고(辛苦), 온(溫)이고 작용부위는 간(肝), 비(脾), 신(腎), 위(胃)입니다.

효능은
1. 이기(理氣) :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2. 조습(燥濕) :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3. 강역(降逆) :
기가 치솟은 것을 내리는 효능임.
4. 거담(祛痰) :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5. 온중산한(溫中散寒) :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6. 지구(止嘔) :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이 약은 편구형-구형이고 지름 2.5-5m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회갈색이고 유실에 의한 오목한 작은 점이 많이 있고
그 가운데에 화주의 잔기가 있으나 흔히 떨어져 있다.
과병은 길이 2-5mm이고 회록색의 털이 밀생한다.
과피는 성숙한 것에서는 8실로 나누어 졌으며 각 실속에는 도란구형
또는 구형의 갈색-흑갈색 또는 청색을 띈 흑색의 윤이 나는 씨가 들어 있다.
표피조직을 현미경으로 보면 강모가 관찰된다.
이용부위 :
열매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비탕(沸湯)에 침(浸)하여 고열(苦烈)한 즙(汁)을 제거하고 배용(焙用)한다.
또는 감초탕포(甘草湯泡)하여 꺼내어 미화(微火)로 배건(焙乾)한다.

(열매 기름으로 불을 켠다하여 소등나무라 함)
산초과에 속하는 오수유나무의 선열매를 말린 것이다.
오수유나무는 남부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가 익기 전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약리실험에서 게움멎이작용, 건위작용, 이뇨작용이 밝혀졌다.
배가 차고 헛배가 부르며 신물이 올라 오는 데,
간기울결로 옆구리가 아픈 데,
고환이 붓고 아픈 데,
신허설사, 각기, 마비, 요통등에 쓴다.
몸을 따뜻하게 하는 대표적인 약초이다.
인체의 몸통부위를 따뜻하게 하며 통증을 완화시키고 기를 소통시키며 습을 말리는 효능이 있다.
오수유는 독성이 있으므로 과량을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복용하면 부작용이 있으므로 가공되어진 것을 복용하거나
복용량, 복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작성자:청성락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래순 나물의 효능 (0) | 2025.02.22 |
---|---|
탱자나무 효능 6가지와 먹는 방법 (0) | 2025.02.20 |
마황(麻黃)의 효능 (1) | 2025.02.19 |
조릿대의 다양한 효능 (0) | 2025.02.19 |
오약(烏藥)의 효능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