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는 고신(苦辛), 무독(無毒), 신고(辛苦), 온(溫)하고 작용부위는 비(脾), 신(腎)입니다.

이 약은 콩팥 모양이며 조금 납작하고 길이 3-5mm, 너비 2-4mm, 두께 약 2mm이다.
바깥면은 흑색-흑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그물모양의 작은 무늬가 있다.
위쪽은 둥글고 1개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과병의 자국은 음푹 들어가 있다.
절단면은 황백색이며 자엽이 2개 있고 기름기가 있다.
이용부위 : 종자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생용(生用)하거나 염수구(鹽水灸)한다.
또한 주침(酒浸)하거나 흑호마(黑胡麻)와 함께 초(炒)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보골지(補骨脂) :
보골지(補骨脂)의 생품은 온신장양(溫腎壯陽)작용이 강하지만
신열(辛熱)하고 조(燥)하여 장복(長服)하면
상음(傷陰)하여
구건(口乾), 설조(舌燥), 후통(喉痛)의 증상이 나타난다.
염자(鹽炙)하면 신찬온조(辛竄溫燥)한 성질이 완화되고
인약입신(引藥入腎)하여 보신납기(補腎納氣) 작용이 강화되므로
양위(陽萎), 요슬냉통(腰膝冷痛), 활정(滑精), 유뇨(遺尿) 등에 씀.
보골지(補骨脂)를 소금물과 잘 섞어서 조금 불린 다음
약한 불로 약간 부풀 정도로 볶고 꺼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림.

효능은
1. 장화익토(壯火益土) :
화기(火氣)를 보충하여 상생(上生)작용으로 토기(土氣)의 영양을 유도하는 효능임.
2. 납기(納氣) :
보신(補腎)약물로 신불납기(腎不納氣)에 의한 허천(虛喘)을 치료하는 것.
신(腎)에서 폐(肺)에서 흡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효능임.
3. 난단전(暖丹田) :
단전(丹田)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4. 명이목(明耳目) :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5. 염정신(斂精神) :
정신을 추스리는 효능임.
6. 온명문(溫命門) :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는 효능임.
7. 온비지사(溫脾止瀉) :
비(脾)를 따뜻하게 하여 설사(泄瀉)를 멎게 하는 효능임.
8. 온신조양(溫腎助陽) :
온열(溫熱)한 약물을 사용하여 신기(腎氣)에 양기(陽氣)를 보태는 효능임.
9. 장원양(壯元陽) :
원양(元陽)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10. 지사(止瀉) :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11. 축냉기(逐冷氣) :
냉기를 쫓아내는 효능임.
12. 축소변(縮小便) :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보골지는 글자 그대로 골수(骨髓)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
두과(豆科) 일년생 초본식물이며 옛날부터 파고지(破故紙)로 잘 알려진 한약재이다.
본초도경(本草圖經)에서는
보골치(補骨鴟)로 기록되어 있다.
왜냐하면 올빼미는 꿩, 산토끼, 들쥐, 개구리, 뱀, 도마뱀 등을 잡아먹고
정력이 넘쳐 밤에 잠이 오지않아 주로 밤에만 활동한다 하여 올빼미 치(鴟)자를 사용한 듯하다.
중약지(中藥志)에는
흑고자(黑故子), 호고자(胡故子)로 기록되어 있으며
강서(江西) 지방에서는 길고자(吉故子)라고 부른다.
보골지는 온조지품(溫燥之品)이므로 상음(傷陰)되기 쉽고 조화(助火)를 형성하기 쉽다.
고로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와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는 부적당하다.
본초경소(本草經疏)에 보면
"음허화동(陰虛火動), 몽유(夢遺), 뇨혈(尿血), 소변단삽(小便短澁), 목적(目赤), 고구설간(苦口舌干), 변비, 내열작갈(內熱作渴), 화승목적(火升目赤), 쉽게 배고픈 증상과 뱃속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는 보골지의 사용주의를 요한다." 고 기록되어 있다.
'약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약(山藥)의 효능 (0) | 2025.02.13 |
---|---|
침향(沈香)의 효능 (0) | 2025.02.12 |
천궁(川芎)의 효능 (1) | 2025.02.11 |
작약(芍藥)의 효능 (0) | 2025.02.11 |
통마늘 다진마늘 익힌마늘 영양이 모두 달라요 (0) | 2025.02.11 |